작가노트
눈부시게 푸르고 시린 낮
인간이 가진 다른 동물과의 두드러진 차이점이라 할 수 있는 것은 ‘보이는 것 너머를 상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눈에 보이는 것 이외의 세계는 보지 못하는 대신, 이를 상상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이것은 때로는 축복으로, 때로는 저주로서 우리 삶에 작용한다. 우리는 이해하기 어려운 것을 해석하려 노력하고, 추측하고 또 동시에 오해와 타자화를 한다. 양날의 검과 같이, 특혜는 곧 한계를 동반한다.
나는 종종 인류 그 자체를 우주 속에서 객관화 해본다. 현대의 우리는 많은 순간 풍요와 안락 속에 잠겨 있다. 그러나 또 많은 순간, 여전히 우리는 사고와 같은 재난을 맞닥뜨린다. 내가 아니었다면 동시대에 살고 있는 그 누군가가 마주하는 일이다.
지금 내 눈에 담기는 눈부신 하루는 누구에게는 시리고 아픈 낮이다. 지난 날의 경험들로 나는 그것을 감각할 수 있다. 바람에 흩날리는 여린 풀들과, 지저귀는 새들, 산책하는 사람들을 바라보면서, 같은 시간 다른 공간에 존재할 전쟁과 범죄, 재난과 사고에 대해 상상한다. 오해와 몰이해로 타자화한 것들이 어느 순간 나비가 되려는 번데기처럼 내 안에 피어나는 상상을 한다.
나의 그림은 그러한 생경하고 이중적인 감각을 담아내기 위한 시도다. 밝고 푸른 색채 아래에는 고요히 통증을 안고 있는 어둡고 차가운 층위들이 있다. 상징으로 재현되는 그림 속 오브제들은 부드러움과 뾰족한 시각 언어로 뒤섞여서 배치된다.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을 관찰하고, 의심 없이 받아들이곤 했던 것의 이면을 살펴보는 일은 나의 작업 과정에서 중요한 한 부분이다. 이전 작업들에 이어서 꾸준히 등장하는 파도의 도상이 이 의미를 뒷받침한다. 진실과 선악을 가르기 힘든 파도와 같은 세계에서 중심을 지키고자 하는 나름의 수행이 되는 것이다.
Artist's Statements
One of the most striking differences between humans and other animals is our ability to imagine what lies beyond what is visible. While we cannot see the world outside our immediate perception, we possess the capacity to envision it. This ability acts as both a blessing and a curse—it enriches our lives, but also complicates them. We try to interpret the incomprehensible, we speculate, and in doing so, we also misread and otherize. Like a double-edged sword, our privilege inevitably comes with its own limitations.
I often attempt to objectify humanity as a whole, placing us within the vastness of the universe. In many moments of modern life, we find ourselves wrapped in comfort and abundance. Yet just as often, we are confronted by disasters—accidents, tragedies, or crises. If not me, then someone else living in the same time is facing them. What seems like a dazzling day to my eyes may be a cold and painful daylight for someone else. Through my own past experiences, I’ve come to sense this duality. As I watch delicate grasses swaying in the wind, birds chirping, and people strolling by, I imagine wars, crimes, disasters, and accidents unfolding in other spaces at the same moment in time. I imagine the things we’ve othered through misunderstanding and misinterpretation—now quietly blooming within me like a chrysalis on the verge of becoming a butterfly.
My paintings are attempts to capture this unfamiliar and layered sensibility. Beneath the bright, blue hues lie quiet, cold strata of pain. The symbolic objects that appear in my work are arranged through a visual language that blends softness and sharpness. Observing what cannot be understood, and looking into the hidden sides of things I once accepted without question—this forms a crucial part of my process. The recurring motif of waves in my work continues to speak to this pursuit. In a world as turbulent and ambiguous as the sea—where truth and morality are often indistinguishable—my work becomes an act of grounding, a quiet practice of holding center.

창 너머의 사건 - 나방 Incident beyond the window : moth,
90.9×72.7cm, 린넨에 석채 Mineral Pigments on Linen, 2025
Artist's Bio
저는 동양화적 채색 기법과 재료를 토대로 파도를 소재로 한 작품 세계관을 구축하고 있는 회화 작가 한혜수입니다. 제 그림에 등장하는 파도는 사회에 대한 여러 모습을 매개하여 담아내는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흘러가는 삶 속에서 마주하게 되는 모순과 대립의 중첩을 다양한 각도로 포착하고, 이를 저만의 시각 언어로 옮겨내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조형적으로는 동아시아의 양식에서 비롯된 파도의 형태를 어떻게 하면 동시대적인 이미지로 풀어낼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저의 삶에 맞닿아 있는 여러 현상들을 입체적인 시각으로 긴밀하게 담아내려는 작업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많은 갈등과 편가르기에 지친 이들을 위해 공감과 위로를 건네는 것이 제가 그림을 그리는 이유인 것 같습니다. ‘나’를 넘어, ‘우리’에 대한 이야기에 관심이 많은 만큼, 제 그림이 현대를 살아가는 여느 시민들에게도 울림과 여운으로 다가가길 기대합니다.
I am Hyesoo Han, a painter who builds a visual world centered around waves, using traditional East Asian painting techniques and materials as the foundation. In my work, waves serve as a visual metaphor to reflect and mediate various aspects of contemporary society. I seek to capture the layered contradictions and tensions we encounter in the flow of life and translate them into my own visual language.
Formally, I explore how the traditional East Asian motif of waves can be reinterpreted through a contemporary lens. Recently, my focus has turned toward engaging more intimately with phenomena closely tied to my own life—observing them from multiple perspectives and depicting them with greater depth and nuance.
My motivation for painting often stems from a desire to offer empathy and solace to those worn down by conflict and division. I believe that art can reach beyond the personal, toward a broader collective experience. With this in mind, I hope my paintings resonate with fellow citizens living in our shared present, evoking both reflection and emotional resonance.
